2018년 9월 29일 토요일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_ 무라카미 하루키


달리기를 말할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_ 무라카미 하루키

강물을 생각하려 한다. 구름을 생각하려 한다.
나는 소박하고 아담한 공백 속을, 정겨운 침묵 속을 그저 계속 달려가고 있다.
누가 뭐라고 해도, 그것은 여간 멋진 일이 아니다.


p18 
 강한 인내심으로 거리를 쌓아가고 있는 시기인 까닭에, 지금 당장은 시간은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저 묵묵히 시간을 들여 거리를 뛰어간다. 빨리 달리고 싶다고 느껴지면 나름대로 스피드도 올리지만, 설령 속도를 올린다 해도 달리는 시간을 짧게 해서 몸이 기분 좋은 상태 그대로 내일까지 유지되도록 힘쓴다. 장편소설을 쓰고 있을 때와 똑같은 요령이다. 만하다고 생각될 과감하게 펜을 놓는다. 그렇게 하면 다음 집필을 시작할 편해진다. 어니스트 헤밍웨이도 아마 비슷한 이야기를 썼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 계속하는 리듬을 단절하지 않는 . 장기적인 작업을 하는 데에는 그것이 중요하다. 일단 리듬이 설정되어지기만 하면, 뒤는 어떻게든 풀려 나간다. 그러나 탄력을 받은 바퀴가 일정한 속도로 확실하게 돌아가기 시작할 때까지는 계속 가속하는 힘을 멈추지 말아야 한다는 것은 아무리 주의를 기울인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p21
 올해 5 , 매사추세츠 케임브리지에서 지내게 되면서부터, 달리는 일이 다시 매일의 생활에 하나의 중심축이 되었다. 착실하게 달리고 있다. 내가착실하게 달린다 하는 말은 구체적인 숫자를 들어서 말한다면, 일주일에 60킬로를 달리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니까 일주일에 6, 하루에 10킬로를 달린다는 것이다. 사실은 일주일에 7, 매일 10킬로를 달리면 좋겠지만, 비가 오는 날도 있고, 일이 바빠서 시간을 없는 날도 있다. 오늘은 피곤하니까 달리고 싶지 않은 날도 있기 마련이다. 그래서 미리 일주일에 하루쯤은쉬는 정해놓는 것이다. 그러니까 일주일에 60킬로, 달에 대충 260킬로라는 숫자가, 나에게는착실하게 달린다 하는 일단의 기준으로 정할 있다. 

-> 8 30 부터 다시 달리기를 시작했다. 조금씩 페이스가 나아지고 있고, 번에 달릴 있는 거리와 시간도 늘고 있다. 9 1일인 어제는 7.56 km 53 11초에 달렸다. 매일매일 거르지 않고 달리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9 정도를 매일 달려보면 나에게 맞는 페이스와 주간 목표치를 찾을 있을 같다. 


p26
 똑같은 경우를 일에 대해서도 적용할 있다. 소설가라는 직업에적어도 나의 경우라는 전제하에 하는 말이지만이기고 지고 하는 일이란 없다. 판매 부수나, 문학상이나, 비평을 받거나 받거나 하는 일은 뭔가를 이룩했는가의 하나의 기준이 될는지는 모르지만, 본질적인 문제라고는 없다. 자신이 작품이 자신이 설정한 기준에 도달했는가 못해쓴가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일이며, 그것은 변명으로 간단하게 통하는 일이 아니다. 타인에 대해서는 뭐라고 적당히 설명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자신의 마음을 속일 수는 없다. 그런 의미에서 소설을 쓰는 것은 마라톤 풀코스를 뛰는 것과 비슷하다. 기본적인 원칙을 말한다면, 창작자에게 있어 동기는 자신 안에 조용히 확실하게 존재하는 것으로서, 외부에서 어떤 형태나 기준을 찾아야 일은 아니다. 

-> 김연수 작가의지지 않는다는 에서도 비슷한 내용이 나온다. 자신이 설정한 기준에 도달했는가 못했는가가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는 것이다. 사업을 때에도 프로그래밍을 때에도 이와 다를 없다. 결국 모든 일은 스스로 설정한 기준에 도달하기 위해 애쓰는 자신과의 싸움인 것이다.


p35
 혼자 있고 싶다는 생각은 변함없이 항상 안에 존재하고 있었다. 그런 까닭에 하루에 1시간쯤 달리며 자신만의 침묵의 시간을 확보한다는 것은, 나의 정신 위생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 작업이었다. 적어도 달리고 있는 동안은 누구와도 얘기하지 않아도 괜찮고, 누구의 얘기도 듣지 않아도 된다. 그저 주위의 풍경을 바라보고, 자기 자신을 응시하면 되는 것이다. 그것은 무엇과도 바꿀 없는 귀중한 시간이었다.

-> 사람들로부터, 일로부터, 스마트폰으로부터, SNS로부터, 인터넷 포털 사이트로부터, 유튜브로부터 등등 다양한 것에서 반강제적으로 격리되어 있는 시간은 나에게도 상당히 유익하며 중요한 시간이 되었다.


p45
강물을 생각하려 한다. 구름을 생각하려 한다. 그러나 본질적인 면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생각하고 있지 않다. 나는 소박하고 아담한 공백 속을, 정겨운 침묵 속을 그저 계속 달려가고 있다. 누가 뭐라고 해도, 그것은 여간 멋진 일이 아니다.


p67
 달리기 시작하고 한동안은 그다지 거리를 달릴 수는 없었다. 20분이나 기껏해야 30 정도였다고 생각한다. 정도로도 헉헉 하면서 숨이 차버리고, 심장이 쿵쾅거리고, 다리가 후들거렸다. 오랫동안 운동다운 운동을 하지 않고 있었기 때문에 어쩔 도리가 없는 일이었다. 달리는 것을 이웃 사람들에게 보이는 것도 어쩐지 쑥스러웠다. 어쩌다 이름 뒤에 붙는 소설가라는 직함이 쑥스러운 것과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계속해서 달리는 사이에 달리는 것을 몸이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게 되었고, 그에 따라 거리도 조금씩 늘어갔다. 같은 것도 갖춰지고 호흡의 리듬도 안정되고 맥박도 차분해져 갔다. 스피드나 거리는 개의치 않고 되도록 쉬지 않고 매일 달리는 일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다. 그렇게 달린다는 행위가 하루 세끼 식사나 수면이나 집안일이나 쓰는 일과 같이 생활 사이클 속에 흡수되어 갔다 달리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습관이 되고, 쑥스러움 같은 것도 엷어져 갔다. 스포츠 전문점에 가서 목적에 맞는 제대로 신발과 달리기 편한 옷도 사왔다. 스톱워치도 구입하고, 달리기 초보자를 위한 책도 사서 읽었다. 이렇게 해서 사람은 러너가 되어간다. 


p71
 생각해보면, 그런 관점에서 소설가라는 직업에도 맞아떨어지는 말일지도 모른다. 타고날 때부터의 재능이 풍부한 소설가는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혹은 무엇을 해도) 자유자재로 소설을 있다. 샘물이 퐁퐁 솟아나듯이 문장이 자연스레 솟아올라 작품이 완성된다. 노력할 필요 같은 없다. 그런 사람이 더러는 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나는 그러한 타입은 아니다. 자랑을 하는 아니지만, 주위를 아무리 돌아보아도 나에게 같은 것은 눈에 띄지 않는다. 괭이를 손에 쥐고 부지런히 암반을 깨고 구멍을 깊게 뚫지 않으면 창작의 수원에 도달할 없다. 소설을 쓰기 위해서는 몸을 혹사하고 시간과 노력을 들이지 않으면 된다. 작품을 쓰려고 때마다 일일이 새롭게 깊은 구멍을 파지 않으면 된다. 그러나 그와 같은 생활을 오랜 세월에 걸쳐 해가는 동안, 새로운 수맥을 찾아내고 단단한 암반에 구멍을 뚫어 나가는 일을 기술적으로나 체력적으로 효율성 있게 있게 된다. 그러니까 하나의 수원이 메말라간다고 느껴지면 과감히 바로 다음으로 옮기는 것이 가능하다. 자연의 수원에만 의지하고 있던 사람은 갑자기 그렇게 하려고 마음먹어도 그리 쉽게 없을지도 모른다.
 인생은 기본적으로 불공평한 것이다. 그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가령 불공평한 장소에 있어도 그곳에 있는 종류의공정함 희구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그것에는 시간과 노력이 들지도 모른다. 어쩌면 시간과 노력을 들였지만 헛수고가 될지도 모른다. 그런공정함 굳이 희구할 만큼의 가치가 있는가 어떤가를 결정하는 것은 물론 개인의 재량이다. 


p75
학교란 그런 곳이다. 학교에서 우리가 배우는 가장 중요한 것은가장 중요한 것은 학교에서는 배울 없다라는 진리이다.


p75
 그러나 아무리 장거리를 달리는 것이 성격에 맞다고 해도 역시오늘은 몸이 무겁다. 어쩐지 달리고 싶지 않은데라고 느껴지는 날이 있다. 아니, 종종 있다. 그럴 때는 여러 가지 그럴싸한 이유를 붙여서 달리기를 쉬고 싶어진다. 올림픽 마라토너인 세코 도시히코씨와 인터뷰를 적이 있다. 현역에서 은퇴하고 S&B팀의 감독으로 취임한 얼마 안됐을 때의 일이다. 그때 나는세코 같은 레벨의 마라토너도오늘은 어쩐지 달리고 싶지 않구나. , 싫다. 오늘은 그만둬야지. 집에서 이대로 잠이나 자고 싶다라고 생각한 적이 있습니까?”라고 질문해보았다. 세코 씨는 그대로 눈을 크게 뜨고는, ‘무슨 그런 바보 같은 질문을 하는 거야라는 어조로당연하지 않습니까, 그렇습니다!”라고 말했다. 


p122
 이와 같은 능력(집중력과 지속력) 고맙게도 재능의 경우와 달라서, 트레이닝에 따라 후천적으로 획득할 있고, 자질을 향상시켜 나갈 수도 있다. 매일 책상 앞에 앉아서 의식을 곳에 집중하는 훈련을 계속하면, 집중력과 지속력은 자연히 몸에 배게 된다. 이것은 앞서 근육의 훈련 과정과 비슷하다. 매일 쉬지 않고 계속 써나가며 의식을 집중해 일을 하는 것이, 자기라는 사람에게 필요한 일이라는 정보를 신체 시스템에 계속해서 전하고 확실하게 기억시켜 놓아야 한다. 그리고 조금씩 한계치를 끌어올려 간다. 이것은 매일 조깅을 계속함으로써 근육을 가오하하고 러너로서의 체형을 만들어가는 것과 같은 종류의 작업이다. 자극하고 지속한다. 자극하고 지속한다. 물론 작업에는 인내가 필요하다. 그러나 그만큼의 보답은 있다.


p127
아무튼 여기까지 쉬지 않고 계속 달려운 것은 잘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나는 내가 지금 쓰고 있는 소설을 스스로도 좋아하기 때문이다. 다음 자신의 내부에서 나올 소설이 어떤 것이 될지 기다리는 그것이 낙이기 때문이다. 사람의 불완전한 인간으로서, 한계를 끌어안은 사람의 작가로서, 모순 투성이의 인간으로서, 한계를 끌어안은 사람의 자가로서, 모순 투성이의 불분명한 인생의 길을 더듬어가면서 그래도 아직 그러한 마음을 품은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역시 하나의 성취라고 부를 있지 않을까. 다소 과장되게 들릴지도 모르지만기적이라고 해도 좋을 같은 느낌마저 든다. 그리고 만약 매일 달리는 것이 같은 성취를 조금이라도 보조해주었다고 한다면, 나는 달리는 것에 대해 깊이 감사하지 않으면 것이다. 
 세상에는 때때로 매일 달리고 있는 사람을 보고, “그렇게까지 해서 오래 살고 싶을까하고 비웃듯이 말하는 사람이 있다. 하지만 생각이지만 오래 살고 싶어서 달리고 있는 사람은 실제로는 그렇게 많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설령 오래 살지 않아도 좋으니 적어도 살아 있는 동안은 온전한 인생을 보내고 싶다라는 생각으로 달리고 있는 사람이 수적으로 훨씬 많지 않을까 하는 느낌이 든다. 같은 10년이라고 해도, 멍하게 사는 10년보다는 확실한 목적을 지니고 생동감 있게 사는 10 쪽이, 당연한 일이지만 훨씬 바람직하고, 달리는 것은 확실히 그러한 목적을 도와줄 것이라고 나는 생각하고 있다. 주어진 개개인의 한계 속에서 조금이라도 효과적으로 자기를 연소시켜 가는 , 그것이 달리기의 본질이며, 그것은 사는 것의(그리고 나에게 있어서는 쓰는 것의) 메타포이기도 것이다. 이와 같은 의견에는 아마도 많은 러너가 찬성해줄 것으로 믿는다. 


p185
 앞에서도 썼지만, 직업적으로 글을 쓰는 다수의 사람들이 아마도 그렇듯이 나는 쓰면서 사물을 생각한다. 생각한 것을 문장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고, 문장을 지어 나가면서 사물을 생각한다. 쓴다고 하는 작업을 통해서 사고를 형성해간다. 다시 고쳐 씀으로써 사색을 깊게 해나간다. 그러나 아무리 문장을 늘어놓아도 결론이 나오지 않고, 아무리 고쳐 써도 목적지에 도달할 없는 경우도 물론 있다. 가령 지금이 그렇다. 그럴 때에는 그저 가설을 가지 제안할 수밖에 없다. 혹은 의문 자체를 차례차례 부연해갈 수밖에 없다. 혹은 의문이 지닌 구조를 뭔가 다른 것과 구조적으로 맞대어 비교하든지.


p187
 중요한 것은 시간과의 경쟁을 하는 것이 아니다. 어느 만큼의 충족감을 가지고 42킬로를 완주할 있는가, 얼마만큼 자기 자신을 즐길 있는가, 아마도 그것이 이제부터 앞으로의 의미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 아닐까. 수치로 나타나지 않는 것을 나는 즐기며 평가해가게 것이다. 그리고 이제까지와는 약간 다른 성취의 긍지를 모색해가게 것이다.
 나는 기록에 도전하는 무심한 젊은이도 아니고, 한낱 무기적인 기계도 아니다. 한계를 알면서도, 어떻게든 조금이라도 오래 자신의 능력과 활력을 유지해가려 하는, 사람의 직업적인 소설가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p257
 나는 올겨울 세계의 어딘가에서 마라톤 풀코스 레이스를 하게 것이다. 그리고 내년 여름에도 어딘가에서 트라이애슬론 레이스에 도전하고 있을 것이다. 그렇게 해서 계절이 순환하고 해가 바뀌어간다. 나는 살을 먹고 아마도 하나의 소설을 써가게 것이다. 어쨌든 눈앞에 있는 과제를 붙잡고 힘을 다해서 일들을 하나하나 이루어 나간다. 보폭에 의식을 집중한다. 그러나 그렇게 하는 동시에 되도록 범위로 만사를 생각하고, 되도록 멀리 풍경을 보자고 마음에 새겨둔다. 누가 뭐라고 해도 나는 장거리 러너인 것이다.
 개개의 기록도, 순위도, 겉모습도, 다른 사람이 어떻게 평가 하는가도, 모두가 어디까지나 부차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나와 같은 러너에게 중요한 것은 하나하나의 결승점을 다리로 확실하게 완주해가는 것이다. 혼신의 힘을 다했다, 참을 있는 참았다고 나름대로 납득하는 것에 있다. 거기에 있는 실패나 기쁨에서, 구체적인교훈을 배워 나가는 것에 있다. 그리고 시간과 세월을 들여, 그와 같은 레이스를 하나씩 하나씩 쌓아가서 최종적으로 자신 나름으로 충분히 납득하는 어딘가의 장소에 도달하는 것이다. 혹은 가령 조금이라도 그것들과 비슷한 장소에 근접하는 것이다(그렇다, 아마도 이쪽이 적절한 표현일 것이다).
 만약 묘비명 같은 것이 있다고 하면, 그리고 문구를 내가 선택하는 가능하다면, 이렇게 써넣고 싶다.

무라카미 하루키
작가(그리고 러너)
1949~20**
적어도 끝까지 걷지는 않았다.

 이것이 지금 내가 바라고 있는 것이다.